반응형 공부/CCNP17 05.08_Switch_Spanning-tree ## IOU(IOS on Unix) 설치 ## - GNS3의 경우 Router는 거의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한다. 하지만 Switch는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Router에 EtherSwitch 모듈을 추가하여 실습을 진행. - EtherSwitch 모듈의 경우 기본적인 Switch 기능을 지원하지만 실제 Switch와 명령어의 차이도 존재하고, 모든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아니다. - IOU를 사용하게 되면 실제 Switch와 명령어가 동일하고, EtherSwitch 모듈보다 더 많은 Switch 기능을 지원한다. - 실제 Unix가 아니라 Debian 리눅스를 사용하여 IOS를 구동하게 된다. =============================================================.. 2017. 5. 10. 05.02_Switch_VRRP/GLBP [2.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 표준/ Master, Backup/ IP Protocol 112번 사용 / Hello 주기 : 1초 , Hold Time : 3초 / Multicast : 224.0.0.18 virtual MAC 주소 : 0000.5e00.01NN -> Master 장비가 선출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0) Owner 장비가 Master 장비로 선출. 1) VRRP Priority가 높은 장비. (기본값 100, 범위 : 1 ~ 255) 2) Priority가 동일한 경우 IP 주소가 더 높은 장비. ----------------------------------------------------------------------------.. 2017. 5. 2. 04.28_Switch_FHRP ## FHRP(First Hop Redundancy Protocol) ## - ‘Gateway 이중화 Protocol’ 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물리적으로 Gateway Device를 이중화하여 내부에서 외부 네트워크 전송되는 트래픽에 대한 ‘사용성 (Availa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 FHRP가 설정되는 위치는 주로 End Device와 L3 Device (Gateway) 사이에서 설정한다. -> 일반적으로 PC와 같은 End Device에서는 Routing Protocol을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Gateway 장비에 장애 발생시 자동으로 경로 우회가 불가능하다. ->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teway 이중화 Protocol을 사용한다. -> L3 Device 사이에서.. 2017. 5. 2. 04.27_Switch_GNS3와 로컬연결 ##실제PC와 GNS연동## 1) 라우터와 클라우드 올린다. 클라우드 configure로 들어간다. 2) 로컬영역 연결후 add,aply,Ok 누른다! 3) 라우터에 IP를 주게 되면 로컬호스트 IP와 충돌나지않게 200번대로 준다! 4) IP 설정후 로컬에다 ping 통신 확인~! 5) 로컬호스트와 연결된 외부통신망과도 연결하는 방법~! static설정으로 출구쪽을 로컬호스트의 gateway를 준다~! 무선 설정은 google에서 gns wifi 치면 잘나와있음 6) VM하단에 네트워크 설정으로 들어가서 NAT->Custom으로 vmnet1로 변경 7) 변경을하게되면 gns에서 호스트 컴퓨터를 추가한후 vm에서 변경한 vmnet1로 잡아준다! 즉, 호스트한대당 vmnet1(or 2,3,4..등등)이며 .. 2017. 5. 2.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