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OU(IOS on Unix) 설치 ##
- GNS3의 경우 Router는 거의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한다.
하지만 Switch는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Router에 EtherSwitch
모듈을 추가하여 실습을 진행.
- EtherSwitch 모듈의 경우 기본적인 Switch 기능을 지원하지만
실제 Switch와 명령어의 차이도 존재하고, 모든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아니다.
- IOU를 사용하게 되면 실제 Switch와 명령어가 동일하고, EtherSwitch
모듈보다 더 많은 Switch 기능을 지원한다.
- 실제 Unix가 아니라 Debian 리눅스를 사용하여 IOS를 구동하게 된다.
==================================================================
1. Virtual Box 설치.
2. 파일 ->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 [GNS3.IOU.VM.ova] 불러오기
([GNS3.IOU.VM.ova]는 설치된 Debian Linux 가상 머신)
3. 가상 머신 구동 시 Virtual Box 오류 발생 -> 네트워크 설정 변경
-> 호스트 전용 어댑터 ‘확인’
4. 로그인 계정 : root / cisco
로그인 후 [ifconfig] 명령어로 Debian 리눅스의 IP 주소를 확인.
5. Host-OS(Win7)의 CMD 창에서 [ipconfig | more] 명령어로 virtual
box 어댑터를 확인.
만약 IP 주소가 [192.168.56.1]의 아닌 경우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한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CMD - 관리자 권한 실행>
netsh interface ip set address name="VirtualBox Host-Only Network" static 192.168.56.1 255.255.255.0
6. IP 주소가 [192.168.56.1]로 확인된 경우 [ping 192.168.56.101] 명령어로
Debian 리눅스 가상 머신과 ping test 수행.
=> 여기 까지가 1~6단계 진행 상황.
7. ping test 성공 후 Host OS의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Debian 리눅스에
접근. (http://192.168.56.101:8000/upload)
8. upload 페이지에서 다음 2가지 파일을 upload.
-> File path : i86bi-linux-12-adventerprisek9-15.1a.bin 경로
File type : IOU
-> File path : IOURC.txt 경로
File type : IOU license(IOURC)
9. GNS3와 IOU연동시킨다.
-
Edit -> Preferences -> Server
-
Local Server : 192.168.56.1
-
Remote Server : 192.168.56.101 : 8000
-
Edit -> Preferences -> IOU devices
-
Name : IOU
-
IOU Image : /home/gns3/GNS3/images/IOU/i86bi-linux-l2-adventerprisek9-15.1a.bin
(브라우저의 경로 복사)
==================================================================
** IOU 주의점 **
1. 실제 cable을 연결하지 않은 interface도 활성화 상태로 인식.
다음과 같이 기본적으로 모든 interface를 비활성화시키고 실제 cable의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 interface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좋다.
<IOU1/IOU2>
conf t
int range e 0/0 - 3, e 1/0 - 3, e 2/0 - 3, e 3/0 - 3
shut
!
int e 0/0
no shut
!
2. IOU 장비 사이의 Link를 wireshark로 capture해서 Packet을 분석할
수 없다. 이 경우 IOU장비 사이에 GNS3의 all device에서 Ethernet
Switch(깡통 스위치)를 IOU 장비 사이에 추가하고, capture
포트를 IOU 장비가 아니라 Ethernet Switch 포트로 지정하면
capture가 가능하다.
==================================================================
## STP(Spanning-Tree Protocol) ##
- Switch Network에서 사용되는 Loop 방지 Solution.
- ’ 가용성(Availability) ‘ 확보를 위해 Switch를 이중화하는
경우 Ring 구조의 형태로 연결하게 되면 Loop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관리자가 별도로 설정을 하지 않아도 Switch 스스로
STP가 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에 Loop를 방지할 수 있다.
==================================================================
** Configuration BPDU(설정 BPDU) **
- Switch는 기본적으로 2초 주기로 ‘ Configuration BPDU’를
교환하여 ‘ Root Bridge’와 각 Port의 역할을 결정하게
된다.
- configuration BPDU의 다음 3가지 값을 기준으로 Switch의
역할과 포트의 역할을 결정한다.
[1. Bridge ID]
=> Switch(혹은 Bridge)가 갖고 있는 고유한 식별자(ID)를 의미.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Bridge Priority(기본값 : 32.768) + MAC 주소 ]
=> Bridge ID가 가장 낮은 Switch가 ‘Root Bridge’로 선출된다.
=> 관리자가 임의적으로 Root Bridge를 변경할 경우, 해당 장비의
Bridge Priority 값을 낮게 조정하면 된다.
[2. Path Cost]
=> 해당 Switch에서 Root Bridge까지의 Link 속도를 값으로 변환한
결과이다.
=> 16bit Path Cost는 다음과 같다.
-> 10Mbps : 100 / 100 Mbps : 19 / 1Gbps : 4 / 10 Gbps : 2
[3. Port ID]
=> Switch 포트마다 부여된 공유한 ID이다.
일반적으로 기본값 128. 뒤에 해당 포트의 번호를 붙여서 사용한다.
(ex. Fa0/1 -> 128.1 / Fa0/10 -> 128.10 Fa0/15 -> 128.15)
==================================================================
## STA(Spanning-Tree Algorithm) 동작 ##
1. Bridge-ID가 가장 낮은 Switch를 ‘ Root Bridge’로 선출.
2. Non -Root Bridge에서 다음 조건에 따라 한자의 포트를
‘root 포트’로 선출한다.
-
Path Cost가 가장 낮은 포트.
-
연결된 상대방의 Bridge ID가 가장 낮은 포트.
-
연결된 상대방의 Port-ID가 가장 낮은 포트.
3. 각 Segment 마다 다음 조건에 따라 하나의 ‘Designated 포트’를
선출한다.
0) Root Bridge의 모든 포트.
-
Switch 자체의 Path Cost가 작은 Switch의 포트.
-
자신의 Bridge ID가 작은 Switch의 포트.
-
자신의 Port ID가 낮은 Switch 포트.
4. 역할을 부여받지 못한 포트를 논리적인 Blocking 상태로 변환시킨다.
==================================================================
## STP Timer ##
- STP Timer의 기본값은 다음과 같다.
-
Hello : 2초
-
Max - age : 20초
=> 간접 link 단절 시 Blocking 상태에서 대기하는 시간.
-
Forward-Delay : 15초
=> Listening / Learning 상태에서 대기하는 시간.
- Blocking 상태의 포트가 Forwarding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STP Convergence Time이 필요하다.
-
직접 Link 단절 시
[Listening(15초)] -> [ Learning(15초)]->[Forwarding]
-
간접 Link 단절 시
[Blocking(20초)]->[Listening(15초)] -> [ Learning(15초)]->[Forwarding]
- 비활성화 상태(down)였던 Designated 포트 혹은 Root 포트과 활성화(up)
상태가 되면 역시 [Listening(15초)]-> [Learnig(15초)]->[Forwarding].
즉, 30초의 Convergence Time이 지난 후 Forwarding 상태로 변환된다.
'공부 > CCNP'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11_ICT보안실무_DHCP서버 (0) | 2017.05.14 |
---|---|
05.09_Switch_STP종류 (0) | 2017.05.10 |
05.02_Switch_VRRP/GLBP (0) | 2017.05.02 |
04.28_Switch_FHRP (0) | 2017.05.02 |
04.27_Switch_GNS3와 로컬연결 (0) | 2017.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