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프라 운영2 [서버운영관리]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IT 인프라는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인프라 규모에 따라서 각 요소에 전담 기술자를 배치하기도 하지만 모든 것을 겸임하기도 한다. Facility Facility란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한다. Facility에는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 냉각시스템, 발전기(UPS시스템), 변압기, 소화 설비 등이 포함된다. Server, Storage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가리킨다. Network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가리킨다. 2024. 4. 17. [서버운영관리]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설계 사용 목적의 따라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 조건이 달라진다. 목적을 이해하고 기준을 정리한다. 정리되면 그 기준에 맞는 적절한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해야한다. 어떤 인프라를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어느 정도의 기간 내에 만들 수 있는지 예상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기도 하고 업체나 컨설턴트에 의뢰해서 제안을 받기도 한다. 기획서와 설계서가 완성되면 합당한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인프라 구축 인프라 구축 작업은 기기의 운반과 조립, 장착, 설치, 설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I(System Integration) - 시스템 통합 운영 CE(Customer Engineer) - 기기를 들여와서 설치하는 하드웨어 관련작업을 함. SE(S.. 2024. 4.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