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CCNA

04.07_네트워크기초_Physical

by kyoung-ho 2017. 4. 17.
반응형

ARP Cash -> 내가 방금 알아온 MAC주소를 일정시간동안 기억해 둔다.


ICMP패킷 동작과정 Type은 Ethernet 타입! , FCS는 검사비트



==========================================================


와이어샤크에서 자기자신이 보내는 맥신호 보는 방법~


-Broadcast : 255.255.255.255

                  모든 Network의 마지막 IP주소.

      (host bit가 전부 1인 경우)


-Multicast : Class D주소 (224~239)


-ARP가 발생되는 경우는 목적지 IP주소가 Unicast이면서

해당 IP주소에  대한 MAC주소가 ARP Table에 없는 경우이다.


-Broadcast의 경우 FFFF.FFFF.FFFF , Multicast의 경우 변환 공식에 따라 0100.5e~~대역의 주소로 변환된다.


==========================================================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의 경우 비신뢰성으로 동작한다.


-ICMP의 주 목적은 ‘정보 제공’ 과 ‘오류 통보’ 이다.


1.정보 제공


1)ICMP Type 8(Echo Request)

2)ICMP Type 0(Echo Replay)


=> Ping test와 Traceroute에 주로 사용된다.


2. 오류 통보

1)ICMP Type 3(Destination Unreachable0)

-> IP Packet 전송 중간 장비에서 전송에 실패했을 경우 이를 통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2)ICMP Type 11(Time Exceeded)

-> TTL값이 만료되거나, Fragmentation(조각화)된 Packet의 일부가 수신측 장비의 정해진 시간을 초과할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이를 통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ICMP Type 8(Echo Request)

ICMP Type 0(Echo Replay)



ICMP Type 11(Time Exceeded)


서로 다른대역이라 Ping을 쳐도 통신이 되질 않는다.


그림이 잘안보이면 ctrl누른 상태에서 +로 확대해서 보면 잘보인다.


반응형

'공부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11_네트워크기초_Router설정(2)  (0) 2017.05.03
04.10_네트워크기초_Router설정(1)  (0) 2017.05.03
04.06_네트워크기초_VLSM&Layer2  (0) 2017.04.17
04.05_네트워크기초_OSI7 Layer  (0) 2017.04.17
04.04_네트워크기초_정의  (0) 2017.04.17

댓글